SFA 구축 전략

 고객관리 및 영업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SFA 시스템 도입이 최근 제약업계를 비롯하여 금융, 제조, 서비스 부문에 빠른 속도로 이슈화되고 있다. 이는 SFA 시스템이 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고객관계 강화를 실현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영업사원의 Sales Skill 향상을 통해 영업활동의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CRM 시스템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많은 기업이 SFA의 도입효과 부분에 대한 명확한 확신을 갖지 못하여 시스템 도입을 주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기업에서의 SFA 도입 필요성 및 효과 그리고 시스템 도입 방안을 중심으로 실무자적 입장에서 밝히고자 한다.

SFA 의 배경

 기업간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경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은 생산기술력을 향상시키고 안정된 고객을 확보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기업의 고객 수를 증가시키는 양적 팽창을 마케팅 전략으로 취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익 가치가 큰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질적 향상에 중점을 둔다. 그러므로 단골고객, 우수고객에게 차별화된 서비스와 특별한 Loyalty를 제공하여, 충성도가 높은 고객으로 유도하는 시스템으로서 CRM이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다. 기업의 영업활동 유형에 따라 관리해야 할 고객의 유형이 변화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일반 소비재를 생산하는 제조업체의 고객은 End -user가 될 것이다. 불특정 다수인 고객을 관리하는 CRM 으로서는 캠페인 관리 시스템 등이 활용된다.

 그러나, 이 제조업체에서 관리해야할 고객은 End-user 만이 아니다. End -user 에게 제품을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는 유통업체들은 이 기업의 상품을 구색하고 판매하기 위한 결정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요한 고객이 될 것이다.

 다른 예로서, 의사나 약사처럼 End -user를 위하여 상품 선택을 결정하는 키맨은 제약회사에서는 사운을 걸고 관리해야 할 중요한 고객이 될 것이다.

 기업에 따라서는 End -user가 기업이 되는 경우가 있다. 고객기업에게 필요한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를 설치, 운영하는 기업. 그리고, 고객 기업에게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등, 기업을 상대로 판매, 영업을 하는 기업은 거래기업 또는 구매 조직이 고객이 될 것이다.

 SFA 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고객은 일반 고객이 아니라 기업 고객 또는 키맨 그리고 기업에게 높은 가치를 제공하는 우수한 특정 고객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기업과 기업간에 판매자와 고객 관계가 성립되는 B2B 영역에서의 CRM시스템으로서 SFA가 적용되는 것이다.

 SFA에서 고객으로 관리해야 하는 대상은 기업 또는 어떤 조직의 키맨이 된다. 키맨을 통하여 판매기업에 대한 선호도를 높이고, 기업과의 관계강도를 향상시킨다면 그가 속한 고객기업을 안정된 고객으로 확고히 다질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고객기업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입수한 후,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 영업사원은 고객관계 관리를 위해 정의된 기준에 의해 고객정보를 수집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고객의 특성을 이해하고, 고객별로 효율적인 영업접근 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 영업관리자는 수집된 고객정보를 활용하여 목표고객을 정확히 타게팅하고, 영업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표로써 확인한 후, 차후 영업전략에 피드백 해야 한다.

 영업효율성 제고를 위한 상기의 과제들은 대개의 영업조직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로 연구되고 있다. 영업촉진자동화 시스템인 SFA의 등장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과학적으로 실현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SFA 도입 필요성

 SFA의 필요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국내 영업활동의 현실과 특성을 살펴보기로 하자. 고객과 영업사원과의 관계에서 영업사원의 고객 방문횟수와 친밀도는 매출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영업사원은 정해진 시간내에 보다 더 많은 고객을 방문하고, 업무시간 중에서 고객 접촉시간을 증대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통시간, Paper-work 시간, 고객대기시등의 비효율적인 영업외시간을 줄이고, 고객 접점을 강화하기 위하여 고객방문 활동이 계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고객을 방문한 영업사원은 고객에게 제품을 설명하고 설득하기 위해 제품지식을 전문화해야하며, 고객 접점에서의 영업스킬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정보는 시스템에 저장되어야 하고 필요할 때마다, 영업사원에게 용이하게 지원 되어야 한다.

 영업사원의 영업활동은 고객의 이해를 바탕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고객의 needs가 무엇인지, 고객이 선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사전에 파악하고, 고객의 요구사항에 대해 즉각적인대응을 해야한다. 특히 불만사항, 클레임에 대해서는 신속하고 원만하게 해결하여 이로 인한 고객 이탈을 방지해야 한다.

 중요한 고객은 일대일로 개인화되어 철저히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고객프로파일 정보, 고객 접촉 이력 정보 등은 물론, LTV, RFM 등 고객 개인에게 특화된 고급 정보까지 관리되어져야 하는 것이다. 고객은 기업의 자산이나 다름이 없다. 이러한 고객 정보는 영업사원 개인 차원이 아니라, 회사 차원에서 통합 관리하고, 고객정보의 상실이나 누수 또는 유출에 대한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업관리자는 영업활동 결과 분석과 생산성 제고를 위한 전략수립에 관심을 갖을 것이다.그러나, 과거의 영업방식으로는 영업사원 개인의 영업진행 상태가 파악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객과의 접촉이력이 Recoding 되지 않는다. 이것은 영업관리 및 고객관리를 위해 중요한 정보를 관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정보관리는 뒤로 한채, 영업사원에게 목표와 과제만을 부여하고, 결과와 실적만으로 평가하는 방식의 영업형태로는 영업 생산성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영업생산성 향상을 위한 전략으로서, 고객에 대한 영업기회를 발굴하고, 미리 설정된 영업진행 단계에 따라 과학적인 업무가 진행이 되어야 한다. 이렇게 실행한 영업활동의 결과에 대해서 원인을 분석하고, 차후의 영업전략에 적절히 피드백되어, 영업기회를 예측 운영할수 있는 패턴의 영업 운영 프로세스는 영업관리자들이 해결해야할 과제인 것이다.

SFA의 이해

CRM 에서 SFA란 영업자동화 및 지속적인 고객관계관리를 통한 고객 충성도 향상을 위하여 영업활동을 지원하는 “영업촉진자동화”시스템이다. SFA는 영업활동의 자동화 뿐만 아니라 고객의 상태 변화가 주요관리 사항이며,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고객관계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마케팅, 영업, 서비스 등 Value Chain 상의 영업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된다는 점에서 단순히 영업활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작업을 자동화하는 영업자동화시스템과는 차이가 있다.

SFA 에서는 Sales Pipeline 관리가 세일즈 역량 강화를 위한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Sales Pipeline을 관리한다는 것은 신규 비즈니스 발굴 및 고객관계강화를 통해 고객기반을강화하는 것이다. 영업사원은 잠재고객을 발굴한 후, 가망고객을 정리해서, 실제 고객으로 유도하기 위한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이 부분에서 잠재고객과 가망고객의 현상을 정리해주지 못하면 영업 현황에 대한 파악이 어렵고 예측도 불가능해진다. 결국 직관이나 추세에 의한 판매예측으로써 비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치있는 고객에 대한 분명한 접근 전략을 수립하고 정확한 고객 데이터를 관리함과 동시에, Sales Pipeline에 대한 분석을 통해 영업기회와 영업전략을 포착하여 세일즈 초기 단계에 집중함으로써, 비효율적인 영업활동 요소를 제거하고, 영업사이클 타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세일즈 역량이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SFA 도입에 따른 기대효과

SFA 의 기대효과는 첫째, 영업생산성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영업사원의 고객현황과 영업활동 현황을 기록, 관리함으로써, 영업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되어 Team Selling이 가능해진다. 즉, 영업사원 개인의 역량에 의해서만 고객이 관리되고, 개인의 영업정보와 개인의 영업방법으로써 해결하던 기존의 영업활동이, 영업사원별로 보유한 정보가 통합, 공유됨으로써, 팀 및 조직 차원에서 효과적인 영업전략 수립이 용이해지며 , 이를 근거로 하여 영업활동을 과학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영업사원간의 영업활동 보고는 SFA를 통해 자동으로 Follow-up 된다. 이를 확인한 영업관리자는 영업사원 개인에게 코칭 전략 및 지시사항을 시스템 상에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영업사원 간에는 영업 정보를 내부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통해 상호 교류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자동화된 보고 및 커뮤니케이션 기능은 영업시간 효율성 제고를 위한 재택근무가 가능하게 하는 요소들인 것이다.

 영업생산성 향상 효과로서 또 한가지의 기능은 영업 활동과 영업 결과를 분석하고 피드백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영업사원별, 팀별, 영업조직별로 영업결과 데이터를 통계, 분석하여, 각각의 영업활동에 대한 원인을 분석할 수 있으며, 영업진행 현황을 적시에 모니터링 함으로써 영업 대처방안과 활동상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준다.

 SFA 도입으로 인하여, 영업관리자는 각각의 영업사원이 어느 분야에서 활동의 강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는지, 사원별로 왜 영업생산성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그리고 각 사원별, 팀별로 영업활동이 어떻게 진행되어가고 있는지 등의 영업활동 내역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럼으로써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영업관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둘째, SFA를 통해서 고객관리의 효율성이 강화된다.

 고객에 대한 정보, 고객 기업의 키맨에 대한 필요정보가 DB로 통합 관리됨으로써 신입 영업사원이라 할지라도 고객에 대한 이해를 쉽게 터득할 수 있으며, 고객 유형에 따른 검색이 용이해질 수 있다. 고객을 여러가지 조건대로 선별할 수 있으므로, 타겟 마케팅을 위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고객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고객의 인맥관계 또는 고객의 취향, 선호사항 등을 파악할 수 있어 해당 고객에게 특화된 경쟁력 있는 프로모션을 진행할 수 있고 고객 접근이 용이해 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고객에 대한 영업활동 이력을 관리함으로써 고객과의 관계강도를 파악하고, 고객에게 적절한 영업전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제품관련 효율성이 제고된다.

 SFA 시스템 내에 제품에 대한 모든 지원 정보를 입력, 관리함으로써, 영업사원은 고객별로 자신의 영업진행단계에 필요한 제품 정보를 용이하게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다.

 고객은 제품의 세부 정보를 요청하거나 제품에 대한 문제점 및 클레임을 제기할 수 있다.영업사원은 이러한 상황을 즉시 체크하고 빠른 시일내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관한 정보는 각 고객별로, 제품별로 관리되어, 제품 개선에 반영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고객 서비스 부분은 SFA의 고객만족도 강화 차원에서 중요하게 관리되고 있는 영역이다.

SFA 구성 및 기능

지금까지 SFA 배경 그리고 SFA 개념 및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제는 SFA 의 기본 구성 모듈과 기능에 대해 요약하고자 한다.

 SFA는 일반적으로 크게 고객관리 모듈, 영업활동 모듈, 영업관리 모듈 그리고 분석 및 Feed-Back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고객관리 모듈에서는 고객정보와 거래내역을 관리하며, 영업활동 모듈에서는 영업스케쥴링, 영업기회관리, 영업활동결과 관리 및 프로모션, 서비스내역을 관리한다. 영업관리 모듈은 영업관리자의 팀 관리를 위한 모듈로서 목표대비 실적현황과 영업전략 및 팀 운영에 대한 부분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분석 및 Feed-Back 모듈에서는 영업결과에 대한 분석과 고객분석, 영업활동분석을 통하여 레포팅이 가능하도록 한다.

1. 고객정보

 영업사원이 관리하는 고객에 대한 정보를 Account와 Key-man으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고객으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거래내역 및 영업활동 정보 뿐만아니라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내역을 통합하여 관리한다. 축적된 고객정보는 고객에 대한 접근 방법과 영업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관리한다. LTV 및 RFM 기준에 의해 고객가치를 구분하고 고객 등급을 관리하여 차별화된 마케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2. 영업기회

 거래에 관련된 주요 프로젝트 정보와 영업기회 정보를 관리하고, 적절한 영업가능성을Forecasting 하여 경쟁력 있는 영업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영업기회를 달성하기 위한 영업활동을 영업단계별로 관리하여 영업기회의 진행 현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3. 영업활동

 영업사원의 고객방문 내역과 고객 Follow-up 사항 등, 영업업무에 대한 계획과 실행 결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영업일지의 형태로 당일 영업활동에 대한 내역을 입력하여야 한다.

4. 서비스

 고객의 Inbound 정보 (요청, 클레임, 문의 등)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며 서비스 처리내역 및 처리결과, 만족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5. 프로모션

 영업사원이 고객에게 제공하는 Outbound 형태의 서비스로서 판매 촉진을 위한 프로모션(판촉물, 행사지원, 사은품, 이벤트 등)을 기획, 실행하고 관리하며 프로모션 처리현황과 결과를 종합적으로 관리한다. 또한, 프로모션 투자 대비 효과성을 자동으로 분석할 수 있다.

6. 스케쥴링

 영업사원의 영업활동 계획을 기간(월별, 주별, 일간)별로 관리, 체크하고 업무 실행 여부를 Alarm, alert 형태로 고지할 수 있도록 한다.

7. 견적, 주문

 고객에게 제시하는 견적 사항과 고객의 주문 내용을 처리 건 마다 관리하여, 고객과의 거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견적 및 주문은 ERP 등 기간계 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어야 한다.

8. 목표 및 실적관리

 영업사원별, 팀별로 목표를 할당하고, 목표대비 실적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개인별로 현재까지의 영업 실행 현황에 대비하여 최종 달성 가능 실적을 예측할 수 있다. 이로써 영업사원의 목표의식을 강화할 뿜만 아니라, 영업사원의 업무 처리 능력에 따라 업무량을 조절할 수 있다.

9. 통계 및 분석

 SFA 에 입력되는 모든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매출, 실적 현황 및 영업활동 결과를 조건별로 분석할 수 있다. 분석 자료는 피드백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 레포팅 할 수 있다.

SFA 도입 사례

 제약회사인 A사는 개방화로 인한 외국계 기업의 상륙과 의약분업으로 인한 사업 환경변화 그리고 극심해져가는 기업간 경쟁으로 인하여 영업활동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당시 A사는 영업사원의 의약 및 제품 지식 강화를 위한 시간 투자를 많이 하였으며, 출퇴근 시간 및 레포팅, 영업준비시간 등 영업외 활동으로 인한 시간 낭비 제거를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로 여기고 있었다. 또한, 영업관리 측면에서는 영업사원들의 영업진행 현황을 파악하기 곤란하였고, 고객 및 영업 정보를 영업사원 개인이 즉흥적으로 관리하는 전형적인 한국형 기존 영업패턴으로 운영되고 있는 회사였다.

 이 회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써 2001년에 SFA 도입을 검토하였다.

 A사는 내부 영업업무의 특성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고객 만족 극대화 및 영업 효율성 향상을 목표로 영업촉진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SFA 시스템은 기존의 ERP 시스템 및 기간계 시스템과연동되어 고객정보를 통합하였고, 각 시스템간 데이터를 상호 교류할 수 있는 체제로서 구현이 되었다.

 구축 초기에는 영업사원의 SFA 적응력을 강화하고 활용도 향상을 유도하기 위하여, 적극적인 내부 교육을 실행하였고, 영업 보고업무를 SFA 시스템으로 통합, 관리하는 방법으로 운영하였으며, SFA 정착을 위하여 몇개월간의 적응기간을 두었다.

 구축 6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A사는 고객 및 영업 정보를 현 업무의 70 % 수준으로 축적하였으며, 이에 따라 가시적인 구축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여러가지 측정 지표 중, 영업사원당 매출액과 영업기회 발굴 측면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영업사원 마다 영업외 시간 비중을 줄여 영업시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혀가고 있다.

 최근의 SFA 기술은 모바일 SFA 와 더불어 GIS 기술을 포함한 G-CRM 으로 영역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과 G-CRM도 우선은 SFA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구축해야한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모바일은 고객접점에서 고객의 요구사항 및 주문, 서비스 처리상황을 실시간으로 입력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객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한다거나, 영업기회를 발굴하고 영업결과를 분석하여 피드백 하는 영업전략 수립 차원의 가치를 제공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SFA 시스템을 기반으로 모든 고객과 영업정보를 통합관리한 후, 영업현장에서 모바일을 활용한다면 영업활동의 편리성 및 생산성 향상 차원에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GIS 정보를 활용하여, 고객의 지역적 특성과 팀별 영업활동 분포를 파악하여, 고객과 매출의 분포 및 영업흐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비효율적인 영업조직의 체질 개선을 위한 SFA 시스템을 잘 활용하면 영업생산성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SFA 시스템은 고객과 영업활동이 존재하는 모든 기업에 적용될 수 있는 필드 분야의 CRM 시스템이다. 또한 실무적 입장에서, 시스템 도입 효과를 가장 빠른 시일내에 얻을 수 있는 현실적인 운영계 CRM 시스템이다.

 SFA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은 사전에 조직에 대한 문제점을 발견하고 어떠한 방법으로 영업조직을 개선할 것인지에 대한 영업전략을 구상해야 한다.

 같은 산업군에 속한 기업이라 할지라도 회사의 영업전략에 따라 SFA 시스템이 크게 달라질수 있다. 예컨데 어떤 회사는 관리자 입장에서 영업사원을 관리하고 평가하는 전략으로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고, 또 다른 어떤 회사는 영업사원의 영업활동을 지원하고 업무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SFA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전략에 따라 SFA 각각의 모듈 비중이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자 View 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시스템을 구축하는 솔루션 기업으로서, SFA 시스템 구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은, 구축하려는 고객기업의 영업 업무 특성과 프로세스를 완전하게 이해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SFA 시스템의 성패는 SFA를 활용하는 User, 즉 영업사원이 얼마나 정확한 데이터를 성실하게 입력하고 관리하느냐에 달려있다. 따라서, 고객기업의 니즈를 충분히 이해하고, 고객기업 영업사원들의 기존 업무 패턴을 고려하여, User가 사용하기 편한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구축할 수 있는 노하우가 고객의 SFA 시스템을 성공하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ERP 정의

 

ERP = 기업 전체 자원의 효율적 관리 시스템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의 약어로서 전사적 자원관리라고 불리운다.
말 그대로 기업활동을 위해 쓰여지고 있는 기업내의 모든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궁극적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통합정보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은 경영활동의 수행을 위해 여러개의 시스템 즉 생산, 판매, 인사, 회계, 자금, 원가, 고정자산 등의 운영시스템을 갖고 있는데 ERP는 이처럼 전부문에 걸쳐있는 경영자원을 하나의 체계로 통합적 시스템을 재구축함으로써 생산성을 극대화 하려는 대표적인 기업 리엔지니어링 기법이다.
과거의 경영지원을 위한 각 Sub System들은 해당 분야의 업무를 처리하고 정보를 가공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하기도 하지만 별개의 System으로 운영되어 정보가 타 부문에 동시에 연결되지 않아 불편과 낭비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ERP는 어느 한 부문에서 Data를 입력하면 회사의 전 부문이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정보로 활용할 수 있게 하자는 것이다.
ERP
를 실현하기 위해서 공급되고 있는 S/W ERP Package라고 하는데 이 Package는 데이터를 어느 한 시스템에서 입력을 하면 전체적으로 자동 연결되어 별도로 Interface를 처리 하여야 할 필요가 없는 통합 운영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또한 ERP Package는 주기적으로 New Version이 공급되고 있어 신기술의 도입이 쉬우며 선진 업무 Process의 도입에 의한 생산성 향상, 많은 기업의 적용으로 신뢰성 및 안전성 확보, 전 모듈 적용시 Data의 일관성 및 통합성으로 업무의 단순화 표준화 실현, 실시간 처리로 의사결정 정보의 신속한 제공등의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ERP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업무처리 능률을 극대화 하기 위한
선진프로세스(Best Practice)와 최첨단의 IT를 동시에 얻는 효과를 거둘 수 있고, 이는 급변하는 경영환경의 변화와 정보기술의 발전에 필사적으로 대응하려는 기업의 고민을 동시에 해결시켜 주는 솔루션이라고 할 수 있다.

 

ERP 역사(등장배경)

 

ERP는 제조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인 MRP에서 발전

ERP는 어느날 갑자기 생긴 개념이 아니라 경영 및 정보기술(IT) 환경의 변화에 따라 자연스럽게 생긴 것이다.
ERP
는 제조업체의 핵인 생산부문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시스템인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 자재소요량계획)에서 비롯된다. 1970년도에 등장한 MRP는 기업에서 가장 고민거리 중에 하나인 재고를 줄일 목적으로 단순한 자재수급관리를 위한 시스템이었다.
1980
년도에 출현한 MRPⅡ(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Ⅱ : 생산자원계획)는 자재뿐만 아니라 생산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MRP가 확대된 개념이다.
그러나 MRP, MRPⅡ 시스템은 IT자원이 충분히 뒷받침되어 주지 않아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MRPⅡ
에서 확장된 개념의 ERP 시스템은 생산뿐만 아니라 인사, 회계, 영업, 경용자 정보 등 경영관점에서 전사적으로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주목적이다.
90
년대 들어 글로벌 경쟁체제로 들어서면서 급변하는 경영환경과 특히 컴퓨팅 파워가 막강 (H/W비용의 급락, 첨단 IT 출현)해지고, 시장구조가 생산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전환되어 가고 있는 가운데 기업체들은 살아남기 위해서 IT자원을 활용한 첨단의 경영기법을 도입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ERP시스템이 주목을 받게 되었다.

MRP [1970년대]
생산과 재고관리 기법인 MRP(Material Requriement Planning : 자재소요량계획)는 기준 생산계획(마스터 스케줄)과 부품표, 재고 정보의 3가지를 기반으로 구체적인 제조일정과 자재생산, 조달계획을 계산하는 기법이다.
【주요기능】: 자재수급관리, 재고의 최소화

MRPⅡ[1980년대]
MRPⅡ(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Ⅱ :
생산자원계획)는 생산계획의 주변 업무를 다루는 방향 즉, 생산능력계획과 기준 생산계획의 피드백, 조달예산계획,설비구입계획, 재고예산계획, 제조재무계획, 판매계획과의 연동 등을 구현한 시스템으로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기업에서 이용되고 있다.
【주요기능】: 제조자원관리, 원가절감

ERP [1990년대]
ERP
MRPⅡ 시스템을 기업 활동 전반의 모든 업무의 경영자원으로 대상을 확대함으로써 붙여진 이름으로, 기업의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해 첨단의 IT를 기반으로 하여 선진 비지니스 프로세스가 구현된 패키지 소프트웨어이다
【주요기능】: 전사자원관리, 경영혁신

확장 ERP [2000년대 : SCM, CRM]
【주요기능】: 기업간 최적화, Win-Win-Win

ERP 기능[기능적 특성]

 

통합업무시스템이다
ERP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영업, 생산, 구매, 재고, 회계, 인사 등 회사내의 모든 단위업무가 상호 긴밀한 관계를 가지면서 실시간(Real Time)에 통합적으로 처리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업무통합을 통하여 기존 MIS에서의 부분최적에서 전체 최적화가 가능하게 되었고, Task중심적인 업무처리 방식이 고객 지향적인 프로세스 중심적으로 전환되어진다. 또한 모든 시스템이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어떠한 정보라도 두번, 세번 중복적으로 처리할 필요없이 거의 한번의 입력으로 처리가 끝나게 되는 One Fact One Place가 가능하게 된다.

세계적인 표준 업무 프로세스이다.
ERP
시스템은 첨단 경영기법을 연구하고 세계 초일류 기업의 선진 프로세스를 벤치마킹하여 프로세스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ERP패키지에서 구현된 프로세스 자체가 세계적인 표준 업무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표준 프로세스의 도입을 통해 기업체들은 별도의 투자없이 자동적으로 BPR을 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룹웨어와 연동이 가능하다.
그룹웨어는 다수의 사람이 서로 협력하면서 공동으로 진행하는 지적인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이다. 일반적으로 그룹웨어에서는 전자메일·전자계시간·공용 데이터베이스·전자 결재·워크플로(작업의 흐름을 관리하는 관리하는 기능)등의 기능이 제공된다. 이러한 그룹웨어기능과 영업·생산·구매·자재·회계 등 기간업무 시스템과의 연동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ERP시스템의 경우 패키지 자체내에서 이러한 그룹웨어 기능들을 내장하고 있으나 자체내에 그룹웨어 시스템이 없는 경우에도 외부 그룹웨어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그룹웨어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피라미터 지정에 의해 개발되어 진다.
ERP
시스템은 패키지 개발시 해당 업무프로세스와 관련하여 상정할 수 있는 대부분의 거래유형을 포함시켜 놓고 있다. 따라서 업종별, 기업규모별로 천차만별인 세계도처의 기업에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구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 비용을 크게 줄일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필요한 기능을 전부 내장하고 있는 ERP 패키지를 파라미터 지정을 이용하여 해당기업에 맞도록 시스템을 최적화시켜주는 작업은 ERP컨설턴트의 몫이다.

확장 및 연계성이 뛰어난 오픈 시스템이다.
기존 MIS가 폐쇄적인 구조로 설계되어 시스템의 확장 및 다른 시스템과의 연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반면, ERP시스템은 어떠한 운영체제·데이터베이스에서도 잘 돌아가게 설계되어 있어 시스템의 확장이나 다른 시스템과의 연계가 쉽게 되어 있다. 특히 데이터를 정밀하게 분석해주는 데이터웨어 하우징(Dataware housing), 경영분석 도구인 중역정보시스템(EIS : Executive Information System), 설계와 생산을 동시에 가능케 해주는 PDM(Product Document Management), 광속거래라 불리우는 CALS(Commerce At Light Speed), 전자상거래인 EC(Electrinics Commerce)와 같은 응용·전문영역의 패키지와 ERP시스템은 쉽게 조화를 이룰 수 있어 고도화되고 복잡해지며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적극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글로벌 대응이 가능하다.
ERP
시스템은 어떤 특정 국가에 특정 기업의 표준프로세스를 구현시켜 놓은 것이 아니라 각 사업별 유형(Templet)에 따라 가장 모범적인 프로세스를 내장하고 있어 글로벌 대응이 가능하다.

경영자 정보(EIS : Executive Information System)를 제공한다.
ERP
시스템을 통하여 경영자들은 수시로 경영상황을 점검하고 분석할 수 있게 된다. ERP시스템에서는 제공되는 경영자 정보인 EIS(Executive Information System)을 통하여 경영자는 언제라도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게 되어있다.

전자자료 교환과 전자 거래 대응이 가능하다.
기업내에서 거래되고 발생되는 모든 활동은 기업내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외부기업체와의 연계가 필수적인 사항이라 할 수 있다. 외부와의 연계업무 중 대표적인 것이 EDI(Electronics Document Interchange : 전자적 문서교환)라 할 수 있다. ERP시스템에서 EDI를 연계시킨다면 거래처와 주고받는 모든 문서가 EDI를 통해 접수됨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ERP시스템으로 연계되기 때문에 업무처리의 신속성과 정확성, 표준화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확장 ERP [SCM, CRM]

SCM

SCM Supply Chain Management의 약자로 우리말로 공급망관리정도로 이해되고 있다. 또는 줄여서 망관리라고도 한다. ERP가 기업내의 전사적인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최적의 시스템이라고 한다면 SCM은 이 보다 넓은 개념으로 기업과 기업간의 자원, 정보, 자금 등을 통합관리하여 이해관계에 있는 모든 기업들의 최적화를 도모하는 데 주목적이 있다.
예를들어 살펴보도록 하자.
제조업체의 가장 큰 골치거리 중 하나인 과다재고의 경우 제조업체, 물품 공급업체, 제품 고객사 등이 서로의 정보를 투명하게 볼 수가 있다면 간단히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 물품공급업체가 제조업체의 생산현황을 거울 보듯 훤히 볼 수가 있다면 적기에 적량을 납품할 수 있어 과다생산으로 인한 과다재고에 대한 문제에 대해 더 이상 걱정을 안해도 된다. 제조업체 역시 고객사의 내부정보를 자기회사 시스템에서 찾아 보듯이 활용할 수 있다면 필요이상의 생산을 할 필요가 없게된다. 이와 같이 공급망상에 존재하고 있는 기업군은 서로서로 자기회사의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상대회사는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자재 및 제품의 생산이나 납품계획을 수립하고 재고를 최소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SCM은 물품의 공급자(Supplier)에서부터 고객사(Customer)에 이르기까지 거래와 관련 발생된 정보, 자원, 자금 등의 흐름을 총체적인 관점에서 각 기업간(Chain)의 인터페이스를 통합하고 관리함으로써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적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CRM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은 고객관리 프로세스를 자동화한 고객관리시스템으로 기존 고객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우수고객을 추출하고 이들에 관한 각종 정보를 바탕으로 1 1 집중관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DB마케팅을 한 차원 발전시킨 통합마케팅 솔루션이다.

CRM 지원 기능

-

신규고객 획득

-

우량고객 유지

-

고객이탈 방지

-

휴면고객 활성화

-

고객가치증대(Cross-sell, Up-sell, Resell)

-

고객 설문조사

-

테스트 마케팅

-

광고 및 판촉의 효과성 분석



특징 및 주요기능

-

신규 가망고객 관리, 우량고객 관리, 이탈고객 관리, 휴면고객 관리, 고객 가치증대 관리

-

캠페인관리, 고객 세분화 분석, 고객 프로파일 분석, DM/TM 관리, 캠페인 반응율 분석

-

고객 설문조사, 테스트 마케팅 수행

-

광고효과성 분석, 최적 광고비 책정, 최적 광고 지출전략 수립, 미디어 계획 수립

-

판촉효과성 분석, 최적 판촉비 책정, 세분고객 집단별 최적 판촉 수단 선정 등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고객관계 강화를 통한 수익성 증대

-

Target Marketing 가능

-

가망고객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의 전략적 영업정보화

-

고객의 이익기여도에 따른 전략수립 가능

-

우량고객의 이탈방지 : ALERT System을 통한 이탈가능고객 집중관리

-

휴면고객 활성화

-

Cross-sell, Up-sell, Resell을 통한 고객가치증대

전략적 마케팅의사결정 지원 및 마케팅 비용의 효율화

-

광고 및 판촉등과 관련된 전략적 의사결정 지원

-

과거에 행해진 마케팅 의사결정의 효과성 평가

-

미래 마케팅 의사결정을 위한 예측

-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의 설계 (캠페인 성공율 향상, 테스트마케팅 가능)

-

마케팅 비용의 효율적 사용

 

[출처] ERP_1 (자바홀릭) |작성자 manhee3004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VPN(Virtual Private Network)


- 차
례 -


 
  1. VPN 정의

  2. VPN 기술의 등장 배경

  3. Private Network Public Network 특징

  4. PSDN 통한 VPN 개념도

  5. Network Management Function

  6. 결론

 


 

1. VPN 정의

 

VPN(Virtual Private Network)이란 Public Switched Network 상에서 (:인터넷) 물리적인 Network 구성과 무관하게 논리적으로 폐쇄된 UserGroup 구성하여 다양한 기능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Network 형태이다. VPN 상에 소속된 User VPN Physical Private Network으로 인식한다.

 

2. VPN 기술의 등장 배경

 

정보 기술의 급속한 진전으로 멀티미디어 환경, 인터넷 환경이 확산되면서 사용자의 대역폭 요구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일반 기업에서는 통신 비용 운영 관리 비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VPN PSDN 같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Private Network 특성과 이점을 유지하면서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있는 대안으로 제시된 기술이다. 또한 이러한 기술이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은 PSDN, ISDN, ATM 같은 통신 인프라의 기반이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3. Private Network Public Network 특징

 

Private Network 갖고 있는 장점은 장점은 Network 직접적으로 통제 함으로서 Network 운영에 유연성과 독립성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또한 Network 장비에 대해 독점적으로 사용함으로서 인증되지 않은 접근에 대해 높은 수준의 보안을 구현한다는데에 있다. 그러나 사설 네트워크에 의존하는 기업들은 독자적인 지역적, 국가적, 범국가적 네트워크를 필요로 하며, 이를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의 초기 투자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Private Network 도입할 것인가의 여부를 결정하는 요소로 많은 기업들은 운영의 유연성과 보안성을 중요 기준으로 삼기도 하며 이와는 반대로 설비 투자 비용과 운영 비용이 부담되는 회사들은 통신 서비스를 아웃소싱하기도 한다.

 

Public Network 활용한 통신의 경우 Private Network 비교하여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1) 투자비용이 Terminal 장비로 한정되며 교환장비, 전송장비, 회선 설비 등에 대한 투자가 불필요하다.

  2) 높은 수준의 가용성, 신뢰성을 제공하며, 지역적 한계를 극복할 있고, 인증된 접근에 대해 보안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회사들은 Public Network 활용하면서도 Private Network 장점인 운영의 유연성과 독립성을 원하고 있다. VPN 서비스는 Public Network 상에서 이러한 요구를 수용하는 Customer-oriented 솔루션을 제공한다.

 

4. PSDN 통한 VPN 개념도

 

사용자 삽입 이미지


[
그림 1] PSDN 상에서의 VPN 구현 개념도

 

VPN "Network within the intelligent network"으로서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적절히 구현할 있는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다. [그림 1] PSDN 상의 VPN 구현 방법에 대한 개념도이다. 사용자는 배타적 사용권을 보장받을 있도록 PSDN 상에서 설정된 VPN 통하여 PSDN 상의 자원을 할당 받는다. 대부분의 네트워크 관리 운영은 PSDN 운영자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측의 운영 관리 비용은 아주 적게 소요되며 단지 임대 비용만을 부담하게 된다.

 

VPN 다음의 EWSP 구성 요소들로서 네트워크 구성을 유연하게 있다.

HNN, HNN compact

Switching node

-small capacity: 32-112 ports, 600-2200 pps

- large capacity: 112-2000 ports, 2000-40000 pps

HNN20

up to 20 Line, 150 pps

HNC16

up to 16 Line, 200 pps

[그림 2] 전형적인 VPN 기본 구성도로 "Networks within the intelligent network" 개념을 표현하고 있다.

 

[그림 2]에는 2개의 VPN 많은 line node들이 연결되어 있다. node들은 line 용량, call 요구량, data throughput, VPN 지원하는 서비스의 범위에 따라 적절하게 분산되어 VPN 할당된다. Line 전송 path 같은 Internal Network 자원들은 VPN PSDN data traffic 따라 적절하게 이용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 2] VPN 기본 구성

 

이러한 VPN 구성은 상이한 많은 VPN 필요한 지역에서는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보안도 폐쇄된 user group, network user 인증, 안전한 address 교환 등과 같은 보안 기능들에 의해 보장된다. EWSP VPN 내에 sub-VPN 구현을 용이하게 하므로서 User 조직 구조에 맞는 적절한 네트워크를 구현할 있도록 한다.

 

[그림 3] VPN Private Switching node 할당하므로서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만드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인증되지 않은 접속에 대해 높은 수주느이 보안을 보장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 3] VPN 통한 Private Network 구성

 

[그림 3] 같은 구성은 전용 임대 네트워크라고 말할 있다. 특히 독립적인 VPN 대형 VPN 또는 네트워크의 보안이 특별히 요구되는 사이트에 적합한 구성이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구조는 PSDN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과 병행하여 private VPN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운영을 가능케 한다. 반면 International VPNs 비해 보다 많은 비용을 부담하여야 한다.

 

VPN 기능은 National PSDN Transit PSDN, forign PSDN 통해서 International VPN 구성할 있고 transpatency traffic 접속을 보장할 있다. [그림 4] International VPN Topology이다. 현재 VPN 서비스에 관련한 국제 표준이 없는 상태다. 따라서 폐쇄적인 NMS 인하여 forign PSDN Switching system으로부터 H/W, S/W 자원을 VPN 통합시키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 4] International VPN Topology

 

ISDN 등장은 PSDN 대신할 새로운 가능성 있는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용과 Data 처리 대역폭에 있어서 ISDN PSDN 비해 우수하다. VPN 각각의 ISDN 가입자를 관리하는 Packet Server Module(PSM) 통해서 만들어지며, ISDN D, B 채널을 통해 PSM 접속함으로써 수행된다.

 

5. Network management functions

 

high-performajce management system network operatingl workstation 통해서 EWSP telecommunications network management 기능을 제공한다. 기능에는 tasks 관리, configuration managemnet, fault management, security management, accounting management 등이 있다.

 

다음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능들이다.

1) VPN line enable, disable 변경, 속성 변경

2) Line test

3) 네트워크 상태 message

4) fault reporting

5) graphical 네트워크 구성

 

VPN 이러한 관리 기능으로 인하여 높은 수준의 아웃소싱과 비용 대비 효과 측면에서 최적의 solution 제공한다.

 

6. 결론

 

경제적인 데이터 전송은 모든 회사에게 중요하다. VPN 서비스의 경제적인 효과는 시설 투자 비용과 운영, 관리 측면에서의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비용의 최소화를 통해서 충분히 보장된다.

 

약어 정리

CCITT

ETSI

HMS

HNC

HNN

NMS

NOW

PSDN

PSM

VPN

EWSP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nsultative Committee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Network management system

Network concentrator

Network node

Network management system

Network operating workstation

Packet switched data network

Packet server module

Virtual private network

Electronic packet switching system

 
※ 아래 링크파일에 좀더 자세한내용이 수록되어있습니다.
http://mars.hannam.ac.kr/ftproot/pub/aboutseminar/syncnet/vpn.doc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